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아시아나항공 목표 주가 및 전망, 기업개요 분석 사업의 내용 항공 여행 테마주 성장성
    주식정보모아보기 2021. 5. 10. 00:01

    시가총액

    1조 1,311억원


    시가총액순위

    코스피 211위


    상장주식수

    74,411,764


    액면가l매매단위

    5,000원 l 1주


    투자의견l목표주가

    3.00중립 l 13,500


    52주최고l최저 52주 최고 

    29,713 l 12,805

    아시아나항공 기업 개요, 현황

     

    아시아나항공은 1988년 2월 설립됨. 1999년 12월 주식을 KOSDAQ 증권시장에 등록하고, 2008년 3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이전 상장하였다.

     

    그리고 아시아나항공은 항공운송사업을 주 목적으로 하며 주요종속회사는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아시아나에어포트, 금호리조트, 금호티앤아이 등이 있다.

     

    또한, 정보통신부문에서 항공 3사 및 고속버스 등을 관계사로 보유해 경쟁력 있는 인프라와 전문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개요 :

    한진그룹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진행 중

     

    - 아시아나항공은  1988년 2월 정기 및 부정기 항공운송사업면허를 취득하여 국내외항공운송업, 항공기제조 및 정비수리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 그리고 아시아나항공은 여객기 73대, 화물기 12대로 총 85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여객 9개 도시, 국제여객 21개국, 64개 도시, 국제화물 12개 국가, 27개 도시를 운항하고 있다.


    - 또한 주요 종속기업으로 항공화물하역 및 지상조업 등을 하는 아시아나에어포트, 전산시스템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아시아나IDT, 관광숙박시설 운영업을 영위하는 금호리조트 등을 보유 중이다.

     

    현황 :

    COVID-19 여파로 매출 크게 감소

    - 아시아나 항공은 항공화물 물동량 증가에도 COVID-19 여파로 여객운송 부문이 부진한 가운데 항공조업 및 정보통신 부문도 역성장하며 전년대비 매출 크게 감소하였다.

     

    - 그리고 매출액을 상회하는 비용구조로 적자를 지속하고 있으나, 판관비용 감소와 외화 관련 영업외수지 개선 등으로 영업손실 및 순손실 규모는 축소되었다.


    - 또한, 여객운송 부문의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글로벌 경기 개선과 함께 A350 2대 화물기 개조 운영으로 항공화물 부문이 성장하며 매출 회복 일부 가능할 듯하다.

     

    아시아나항공 재무재표 요약 및 주주비율

     

    아시아나항공 사업의 내용 및 성장성 전망 분석

    사업의 개요

     

    먼저 아시아나항공주식회사(지배회사)는 항공운송사업을 주 목적으로 하며 주요종속회사는 에어부산㈜, 에어서울㈜, 아시아나IDT㈜, 아시아나에어포트㈜, 금호리조트㈜, Weihaipoint Hotel & Golf Resort Co., Ltd. 금호티앤아이(주) 등이 있습니다.

    사업부문별 시장여건 및 영업개황

     (1)  항공운송부문

     (가) 산업의 특성

    먼저 항공운송업은 대규모 투자부담 및 인허가 문제 등으로 진입장벽이 높고, 타 교통수단(육ㆍ해상)에 비하여 운임이 고가인 관계로 사회ㆍ경제적 환경변화에 따라 수요가 민감하게 반응하나, 고속ㆍ장거리 운송에 있어서 타 교통수단에 비하여 경쟁력이 있으며, 계절적 요인에 의한 수요 증감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항공운송업은 세계 정치 및 경제 상황, 질병, 환율 및 유가 등의 대외적 변수에 따라 수익성이 민감하게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 19의 확산으로 많은 국가들이 입국 금지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어 회사의 영업환경이 악화되었습니다.


    항공운송업은 그 시장의 성격이 매우 상이한 여객과 화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여객수요는 경기동향 및 소득수준에 연동하며, 일시적으로 위축된 수요는 외부 장애요인이 해소되면 급속히 반등하는 특성을 보입니다. 화물의 경우 주요 수송품목이 반도체, 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등으로 화물수요는 미국, 유럽 등 선진국 경기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나) 국내외 시장여건

     2020년 항공 여객시장 승객수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전년 대비 68.1% 감소한 3,940만명이며 항공 화물은 여객기 Belly 공급 축소로 전년 대비 1.9% 감소한 296만톤을 기록하였습니다.


     국제여객수송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 위축 및 국가별 입국제한 조치 등으로 전년(9,039만명) 대비 84.2% 감소한 1,424만명을 기록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 영향이 본격화 된 3월 이후 수요가 급감하면서 3~12월 승객수는 전년 동기 대비 96.8% 감소하였습니다. 지역별로는 일본노선이 전년 대비 -88.2%로 가장 높은 감소율을 기록하였고, 이어서 중국 -87.8%, 동남아 -83.4% 등 중단거리 노선에서 큰 폭의 감소가 있었습니다. 국내여객의 경우 제주노선을 중심으로 4월 이후 점진적 회복세를 보였으나, 12월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으로 수요가 급감하며 전년 대비 23.7% 감소한 2,516만명을 기록하였습니다.

     

    국제화물수송은 여객노선 비운항으로 Belly 공급이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화물 전용 여객기 운영, 방역물품 수송 등으로 전년과 동일한 282만톤을 기록하였고, 국내화물은 전년 대비 28% 감소한 15만톤을 기록하여, 전체 항공화물은 전년 대비 1.9% 감소하였습니다. 

     

    한국관광공사에 따르면 2020년 국내 공항을 이용한 내국인 출국자는 409만명으로 전년 대비 85.4% 감소하였고, 외국인 입국자는 224만명으로 전년 대비 85.8% 감소하여 전체 출입국자수는 전년 대비 85.5% 감소하였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의 2020년 시장점유율은 국내여객 16.9%(전년 19.3%), 국제여객 16.8%(전년 15.3%), 국제화물 25.4%(전년 25.2%)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번 코로나19의 영향이 지속되면서 여전히 중국 등을 포함한 53개 국가들은 대한민국 국민을 대상으로 입국금지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고, 대한민국 외교부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특별입국절차 시행을 지속하고 있어 회사의 영업환경 악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기 극복을 위하여 자체적인 임직원 고통분담 등을 포함한 비상경영활동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누적된 결손금 보전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하여 2020년 11월 3일 액면가액 5,000원의 기명식 보통주식 3주를 동일 액면금액의 보통주식 1주의 비율로 무상 병합하는 무상감자를 통해 결손금 보전 및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등 다각도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의 한국시장에 대한 주요 경쟁사와의 3년간 점유율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편 화물운송의 경우 코로나19 확산 결과, 여객기 비운항에 따른 화물운송 공급감소 및 화물운송 수요증가로 보유 화물기 가동률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특히 진단키트, PPE(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등 코로나19 관련 긴급 구호물품 및 위생물품 운송수요가 확대되었습니다. 

     

    그리고 현재 전세계적인 화물 공급 감소 추세로 인한 운임 급등에 따라 아시아나항공은 수익 개선을 위해 화물 전세기(Charter) 및 여객기 Belly Cargo를 운영을 극대화하고 있으며, A350 여객기 2대를 화물기로 임시전환하는 등 공급량을 최대한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기준 전년대비 화물운임이 약 66% 증가함에 따라 매출도 68% 증가하였습니다.

     (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 현황

     항공운송사업에서는 네트워크경쟁력, 기재경쟁력, 서비스경쟁력을 주요한 경쟁력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아시아나항공은 국내여객 9개 도시, 9개 노선, 국제여객 21개 국가, 64개 도시, 73개 노선과 국제화물 12개 국가, 27개 도시, 25개 노선의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All Nippon Airways (ANA), Air China, Singapore Airlines, United Airlines, Thai Airways, Air New Zealand 등 30개 항공사와 국제선 여객 Codeshare를 운영중이며, 세계 최대 항공사 동맹체인 'Star Alliance' 를 통해 전세계 196개국 1,300여개 공항을 연결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12월말 기준 국내여객 7개 노선, 국제여객 26개 노선을 운항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나항공은 2020년 말 현재 여객기 73대, 화물기 12대로 총 85대의 항공기를 보유(등록기준)하고 있습니다.

    에어부산은 영남권 지역에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로 입지를 다진 사실상 국내 유일의 지역 기반 항공사로서, 안전운항을 최우선으로 차별화된 항공 서비스 편의를 제공하면서 지역과 함께 성장해온 항공사입니다.

     

    2020년 기준, 에어부산은 김해공항발 국내선, 국제선 시장점유율 제1위 항공사로 각각 36.3%, 31.0%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내부적인 정시성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을 통해 국토부에서 발표하는 연간 지연율 통계에서 다년간 국내선 및 국제선 정시성 최고 수준을 기록하며 손님들에게 정시 운항이라는 운송업 본연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업계 최초 국내 3대 고객 서비스 평가(KCSI, KS-SQI, NCSI) 모두에서 1위를 석권하며 손님들에게 그 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에어부산은 부산/영남권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부산-김포 노선을 셔틀화하여 운영하며 풍부한 시간대의 내륙노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상용수요를 유치하여 LCC 업계 내 가장 많은 기업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불어 영남권 국제선 노선 확장에 앞장서며 지역민들에게 자유로운 여행 기회를 제공해왔습니다. 특히 금년 COVID-19로 인한 인천국제공항 입국 일원화 조치 이후 김해공항의 국제선 재개를 위해 정부기관 및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하여 10월 부산/칭다오 노선 운항을 성공적으로 재개하여 지역민들의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현재 보유한 기종 대비 운항 효율성이 높고 중장거리 노선 운항이 가능한 A321neo 기종을 도입함으로써 단거리 위주의 노선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수익성을 가진 중장거리 노선에 취항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아시아나항공은 LCC 고유의 운영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다양한 유상 서비스 항목을 개발하여 고객의 선택 편의를 넓히며 저비용 구조를 확고히 다지는 등 경쟁우위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에어서울은 2020년 12월 말 기준 A321-200 6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타 항공사 대비 평균 5년 이상 낮은 기령, 국내 타 LCC 중 가장 넓은 좌석 간격 등의 우수한 기재 경쟁력을 통해 항공 이용 고객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금년 코로나19 사태에 대응, 국내선 확대 운항 및 중국 노선 신규 취항을 통해 현 상황 장기화에 대비하였습니다. 또한 특가, 제휴 등 다양한 프로모션 활동으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히고, 지속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2) 정보통신부문

     (가) 경쟁의 특성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대기업 계열사 중심의 관계사 시장(Captive Market)과 정부ㆍ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중심의 비관계사 시장(non-Captive Market)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관계사 시장(Captive Market)에서 주도권을 행사하는 대형 SI업체들은 대부분 대기업집단 내 IT서비스 회사로서 관계사들의 운영유지보수 및 시스템 구축의 대부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집단 내부 IT 서비스의 태생적인 이유(비즈니스 정보 보호, 중장기 안정적 지원 등)로 외부의 IT 서비스 기업들이 관계사 시장에 신규로 진입하기는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비관계사 시장(Non-Captive Market)의 경쟁 강도는 매우 높은 수준으로 시장 진입장벽이 낮으며, 공개경쟁입찰 방식에 따라 단위 사업별 구축 및 운영 사업자가 선정되는 특성을 가집니다. 따라서, 완전경쟁이 이루어지는 시장의 특성상 중소 IT서비스 업체들의 참여가 활발하고 상대적으로 발주 단가가 낮으며 업체 간 극심한 경쟁을 보이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① 항공/공항 IT 분야 선도 기업
    아시아나항공은 아시아나항공 등 항공 3사 및 국내 양대 공항공사의 시스템 구축 및 운영 노하우를 기반으로 대외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항공/공항IT 전문기업으로서 높은 시장 지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산업 분야별 다양한 솔루션 보유
    아시아나항공이 서비스하는 주요 산업군은 항공/공항, 건설, 금융으로 구분 가능하며, 각 산업별로 경험 기반 솔루션 확보에 주력하여 왔습니다.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디지털 전환의 핵심 요소기술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솔루션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③ IT 아웃소싱 기반 안정적 사업

    아시아나항공은 다양한 산업에 대한 이해와 IT분야 전문성을 기반으로 대내외 고객에게 IT 컨설팅, 시스템 설계 및 구축, IT 아웃소싱, IT 인프라 서비스 등 종합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의 지속적인 IT 투자를 기반으로 경쟁사 대비 높은 매출 가시성과 안정적인 수익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3) 항공운송지원서비스부문

     아시아나에어포트는 지난 1988년 2월 17일 항공기 지상조업을 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 인천, 김포, 부산, 제주, 광주, 진주, 여수, 무안의 8개 공항에서 아시아나항공을 비롯하여 외항기에 지상, 화물 및 급유조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과 동시에 외항사 전용 화물터미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항공기 단순정비업, 장비의 임대 및 수리, 기내용품 세탁 등 부대사업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습니다.

     

     아시아나에어포트는 항공기가 공항에서 대기하는 동안 항공기에 제공하는 용역서비스 사업으로 항공기 유도, 견인, 급유, 수화물 상/하역, 항공기 내,외부 청소, 기타 지상조업관련 서비스 등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관계로 항공기 운항이 회사의 수익창출과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