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솔루스첨단소재 목표 주가 및 전망 기업 분석 사업내용, 성장성 전망 배터리관련주 공매도 급감
    주식정보모아보기 2021. 5. 7. 20:21

    시가총액

    1조 5,096억원

     

    시가총액순위

    코스피 171위

     

    상장주식수

    30,589,758

     

    액면가l매매단위

    100원 l 1주

    투자의견l목표주가

     

    3.88매수 l 60,625

     

    52주최고l최저

    58,400 l 30,150

    솔루스첨단소재 기업요약 및 개요와 현황

     

    솔루스첨단소재는 '20년 12월 솔루스첨단소재㈜로 상호명을 변경하였으며, 전지박, 동박, OLED, 화장품, 제약소재 사업부문을 영위하고 있다.

    그리고 2014년 전지박 원천기술을 보유한 룩셈부르크 동박업체 서킷포일(CFL)을 인수, 2019년 헝가리 공장을 신설하며 전지박 사업 본격화하였다.

    또 2020년 연간 1만톤 규모의 헝가리 공장 완공을 시작으로 2025년까지 연간 7.5만톤 규모의 공장을 단계적으로 증설 예정이다.

     

    개요 : 

    OLED 소재와 전지박을 주로 생산

     

    - 2019년 10월 (주)두산의 전지박, OLED 등 전자소재와 화장품, 의약품 등에 활용되는 바이오 소재 사업부문이 인적분할되어 설립되었다.


    - 그리고 솔루스첨단소재는 주력제품은 OLED 소재인 aETL과 2차전지용 동박이며, aETL은 시장진입장벽이 높아 실제적으로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다.


    - OLED 전자소재의 최대 고객사는 삼성디스플레이이며, 2차전지용 전지박은 2020년 하반기 헝가리 공장을 가동함에 따라 생산능력이 확대되고 있다.

     

    현황 :

     외형 성장 전망

     

    - 전지박 및 첨단소재 사업부의 수주를 통해 290,163백만 원의 매출과 30,386백만 원의 영업이익, 11,038백만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였다.


    - 지연된 5G 네트워크 투자 진행에 따른 동박사업의 정상화와 전기차용 전지박의 수요 증가세, OLED 소재 수주 확대 등으로 외형 성장 전망이 된다.


    - 그리고 한편, 헝가리 전지박 공장의 본격적인 양산 전까지 높은 고정비 증가가 예상되나 하반기부터 양산 안정화 및 생산성 개선이 기대된다.

     

    재무요약 및 주주비율

     

     

    솔루스첨단소재 사업내용 및 전망, 성장성

     

    (1) 산업의 특성

    [전지박 사업부]

     

    1) 산업의 개요

    전지박은 2차 전지(충전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의 음극을 구성하는 동박으로 음극 집전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동박은 PCB(인쇄회로기판)에서 도체 역할을 합니다. 이를 절연체인 합성수지 표면에 입혀 동박적층판을 만들고, 이를 원재료로 인쇄회로를 설계하고 가공하는 PCB기업에 납품됩니다. PCB는 가전제품부터 스마트폰, 첨단 컴퓨터, 통신기기, 군사기기, 우주항공산업 등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모든 전자제품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부품으로써 전자제품의 기술 및 생산활동을 좌우할 수 있는 정도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전지박 제조는 대규모 설비가 필요한 장치 산업인 동시에 화학물(전해액, 첨가제 등) 관리(전해액 농도 유지, 이물질 관리) 및 일정한 두께의 얇은 동박 생산을 위한 공정관리 능력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는 단기간에 확보하기 어렵고 오랜 기간의 노하우를 확보한 업체만 보유할 수 있는 기술이라 볼 수 있습니다.

    2) 국민경제적 지위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미국 Corporate Average Fuel Economy (CAFE) standards, 유럽 Regulation (EU) 2019/631 外) 등 강화된 환경규제로 유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완성차 업체들의 공격적인 전기차 라인업이 확대됨에 따라 배터리 시장의 선두 주자인 국내 배터리 업체들과의 전략적 협력 관계가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배터리 핵심 소재인 전지박을 공급하는 국내 전지박 업체들 또한 공격적인  Capacity 증설을 통해 전기차 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3) 시장규모

    '20년 전기차용 전지박 수요는 약 20만톤 규모이며, 글로벌 전기차 수요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25년에는 4배 이상 성장한 84만톤 규모로 예상됩니다.

    중장기 시장규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동박의 중장기 시장규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성장과정

     

    솔루스첨단소재는 ‘20년 헝가리 타타반야 지역에 총 1.2만톤 규모의 전지박 생산 공장을 완공하였으며, 추가 1.9만톤 규모의 증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지박은 전기자동차 43만대(34kWh 차량기준)를 생산할 수 있는 규모의 양입니다.

     

    전기차 및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의 비약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바, 향후 9만톤까지 생산capa 증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부지는 이미 확보해둔 상황입니다.

     

    이를 기반으로 솔루스첨단소재는 유럽 내 유일한 전지박 제조사로서 유럽 내 No.1 입지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솔루스첨단소재는 2014년에 60년간 동박 제조의 노하우를 축적한 룩셈부르크 소재 동박회사인Circuit Foil Luxembourg를 인수하였고, 이후 R&D 및 설비투자를 통해 세계 최고수준의 High-end 동박 및 전지박 제조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Circuit Foil Luxembourg는 현재 연간 동박 1.5만톤을 생산할 수 있으며, 추가 증설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첨단소재 사업부]



    솔루스첨단소재의 첨단소재 사업부문은 OLED 소재 및 천연화장품, 원료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용 바이오 소재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OLED 소재>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는 기본적으로 두 도체 사이의 샌드위치 형태로 구성된 연속 유기 박막으로 만들어진 전자 소자입니다. 

     

    백라이트등 별도의 광원을 필요치 않는 자체 발광, 15V 이하의 저전압 구동, 높은 휘도와 효율, 10마이크로세컨드(100만분의1초) 이하의 빠른 응답속도, 170도 이상의 광시야각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LCD와PDP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시장의 규모 

    <OLED>

    '20년 기준OLED 소재시장의 규모는 글로벌 시장 기준 8,200억원이며, '25년에는 약 2.5배 성장한 2조원 규모로 예상됩니다. 중장기 시장규모는 아래와 같습니다.

     

    성장과정

    <OLED> 

    1987년, 이스트먼 코닥(Eastman Kodak)에서 두 종류의 유기박막으로 구성된 혁신적인 구조의 형광OLED를 발표했습니다. 그 후OLED를 디스플레이와 조명에 적용하기 위해 본격적인 연구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파이오니아, TDK 등의 일본 기업은 1990년대 중반에 소형PMOLED를 제품화하여OLED의 가능성을 확인했으며 소니, 산요, 세이코 엡슨 등은 2000년 이후부터 AMOLED 생산을 시도하였습니다. 산요와 코닥은 합작회사를 통해 디지털 카메라용AMOLED를 출시했으며 소니는 PDA용AMOLED를 출시했으나, 재료의 성능이 낮고 생산 수율 또한 낮아 AMOLED의 대량 생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삼성SDI는 PMOLED 생산 기술과 저온 다결정Si TFT기술을 기반으로 휴대폰용 AMOLED 대량 생산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AMOLED 시대를 열었습니다. 2010년 이후 OLED는 대형TV, 스마트 패드, 스마트 워치 등에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본포스팅은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