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바이오로직스 3분기부터 코로나 백신 모더나 생산 계약 SK바이오팜은?주식정보모아보기 2021. 5. 23. 23:55
모더나 백신 기술 이전받는 삼성바이오 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제약사 모더나와 코로나19 백신(mRNA-1273) 완제 위탁생산 계약을 맺었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 백신의 원료 의약품을 인체에 투여할 수 있는 최종 형태로 만드는 완제 공정에 대한 기술 도입에 곧바로 착수할 예정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3분기부터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백신 수억 회 분량에 대한 바이알(유리병) 무균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시작할 예정이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원액을 완제 충전하는 방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 백신의 기술이전에 곧바로 착수해 오는 3·4분기부터 미국 이외의 시장으로 수억회 분량의 백신에 대한 무균충전, 라벨링, 포장 등을 본격 시작할 예정이다.
그동안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일라이릴리, GSK 등 글로벌 빅파마의 항체치료제를 맡아 생산해왔지만 백신 생산은 첫 도전이다.
우리나라 바이오 기업은 백신 위탁생산을 위한 러브콜을 받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SK바이오사이언스), 노바백스 백신(SK바이오사이언스), 러시아 스푸트니크V 백신(한국코러스 컨소시엄) 등이 국내 위탁생산 중이다.이번 위탁 생산 계약 체결로 국내 백신 수급에도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기대감이 나온다. 정부는 현재 9900만명 분량의 코로나19 백신 5종을 확보했다. 화이자(3300만명분), 모더나(2000만명분), 노바백스(2000만명분), 아스트라제네카(1000만명분), 얀센(600만명분) 백신과 코로나 백신 국제 공동구매 프로젝트인 코백스 물량(1000만명분)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의 계약에 따라 다르지만, 국내 생산 물량은 국내 우선 공급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모더나 백신의 국내 생산이 이뤄지면 4번째 국내 생산 코로나 백신이 된다. 또 지금까지는 해외에서 생산한 완제품을 공급받았지만 앞으로는 우리가 위탁생산한 백신은 국내에서 사용하는 협력방안이 새롭게 논의 중이다.
'주식정보모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관련주 7가지, 은행 및 투자 대표종목의 주가 전망 신한, KB금융 한국금융, 하나금융 (0) 2021.06.03 탄소배출권 및 탄소중립 관련 테마주 대장주 및 수혜주 정리 7가지 (0) 2021.06.01 이오플로우 목표주가 전망 기업분석 및 개요 사업내용 성장성 재무재표와 주주비율 (1) 2021.05.22 넷마블 목표 주가 전망 기업 분석 및 개요 사업의 내용 성장성 재무재표 주주비율 (0) 2021.05.19 sk바이오팜 목표주가 및 전망 기업의 개요와 사업 내용 성장성 재무재표 주주비율 (0) 2021.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