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바이오로직스 목표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 개요 사업의 성장성 재무요약 및 대주주 비율 코로나 백신 생산주식정보모아보기 2021. 6. 8. 22:08
시가총액 56조 9,681억원
시가총액순위 코스피 6위
상장주식수 66,165,000
액면가l매매단위 2,500원 l 1주
투자의견l목표주가 4.00매수 l 975,833
52주최고l최저 948,000 l 603,000
1)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의 개요 및 현황
삼성그룹의 계열사로 201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의 첨단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생산하는 CMO 사업을 영위하고있습니다.
2018년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19년말 기준 36.2만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이 시장에서 선발업체를 추월해 생산설비 기준 세계 1위 CMO로 도약하였습니다.
그리고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와 아키젠바이오텍은 바이오시밀러 개발 및 상업화를 진행 중입니다.
개요 :
SB3(허셉틴 시밀러 온트루잔트) 유럽 EMA 취득
- 바이오의약품 개발 및 상업화를 위해 삼성그룹의 바이오 사업 지주회사로 2011년 4월 삼성물산 및 삼성전자 자회사로 설립되어 사업 영위 중입니다.
- 그리고 바이오의약품 CMO업체로서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를 통해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연구개발 및 상업화 사업을 진행하였으나 2015년 지배력 상실로 자회사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베네팔리, 플릭사비, 루수두나, 허셉틴의 유럽 EMA 취득을 완료하였으며, 플릭사비 및 루수두나의 미국 FDA 허가 신청과 휴미라 유럽 EMA 허가 신청 완료하였습니다.
현황 :
큰 폭의 매출 성장 및 영업수익성 개선
- COVID-19 항체치료제 등 미주지역으로의 CMO 수주가 크게 증가한 가운데 국내 및 유럽에서의 수주도 증가하며 전년대비 매출 큰 폭 성장하였습니다.
- 또한, 높은 매출 성장에 따른 원가 및 판관비 부담 완화로 영업이익률 전년대비 크게 상승, 그러나 금융수지 저하 및 지분법손실, 법인세 증가로 순이익률은 전년대비 하락하였습니다.
- 글로벌 경기 개선 및 3공장 가동률 상승, COVID-19 팬데믹에 따른 해외 고객들의 CMO 수요 증가, 4공장 증설 예정 등으로 외형 성장이 전망 됩니다.
2)삼성바이오 로직스 재무재표 요약 및 주주비율
3)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의 내용 및 성장성
ㄱ.산업의 특성 - 사업의 개요 및 특성
바이오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사업은 자체 생산역량이부족하거나, 의약품 R&D 및 마케팅에 사업역량을 집중하기 위해 생산을 전략적으로아웃소싱하는 글로벌 제약사들을 고객으로 하는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ㆍ생산 사업 입니다.바이오의약품은 연평균 10.5%(Evaluate Pharma, 2021년 1월 기준)의 높은성장률을 보이며 전체 제약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 같은 빠른 성장과 함께 제약사들의 CMO활용이 확대되는 추세에 있습니다.
CMO 사업의 영위를 위해서는 의약품 제조 과정에 필수적인 품질관리 역량을 기반으로 하여, 제조원가 경쟁력, 적시 생산ㆍ공급의 스피드 경쟁력, 안정적 수주역량이 필수적입니다.삼성바이오로직스가 주력하는 분야인 항체의약품 사업은 상업용 플랜트 건설에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고, 플랜트 설계ㆍ건설ㆍ밸리데이션 등 사업화 준비에 최소 3년 이상이 소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항체의약품은 동물세포를 이용하는 세포 배양, 정제, 충전 등 생산 전 과정에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에 부합하는 높은 수준의 품질관리 역량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그리고 제약사가 CMO를 통해 상업용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생산기술 이전, 시험생산, 각국 의약품 규제기관 GMP 등 2년 정도의 준비기간이 소요됩니다. 이에 제약사와의 CMO 계약은 통상 5∼10년의 장기계약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ㄴ. 산업의 성장성 - 시장의 성장요인바이오의약품 CMO 시장의 성장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 지속 개발
2000년 전후에 출시된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항암제,당뇨 치료제 등)이 여전히 높은 매출 성장을 지속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면역 항암제,고지혈증, 아토피 등 새로운 분야에서 유망 치료제 신약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2) 글로벌 제약사의 생산분야 아웃소싱 확대 추세
제약사들은 의약품 시판허가 및 판매수요 예측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대규모 자본투자가 소요되는 생산분야에서 전문CMO를 활용하는 추세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는 CMO산업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합니다.
3) 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한 복수 생산설비(Dual Sourcing) 수요
최근 각국의 의약품규제기관은 제약사들에게 의약품 공급 안정성 강화를 권고하고있습니다. 미국 FDA는 단일 Site에서만 생산되는 의약품에 대해서는 별도의 "Contingency Plan" 수립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강화 흐름에 따라 CMO를 활용해 복수 생산설비를 운영하는 사례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4) 특허만료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출시
Humira, Herceptin, Remicade 등 기존 블록버스터 바이오의약품의 특허가 만료되고 있어 바이오시밀러 시장은 큰 폭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와 같은 바이오시밀러 시장 확대가 전체 바이오 의약품의 생산 수요증가를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시장규모 및 전망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2,851억불로 전체 제약시장에서 30.1%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시장은 향후 2025년까지 연평균 10.5% 성장해 시장 규모 4,813억불, 제약시장 내 비중은 35.7%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EvaluatePharma, 2021년 1월 기준)
세계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133억불이며, 향후 5년간 연평균 13.7% 성장하여, 2025년 기준 253억불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Frost & Sullivan, 2019년 10월 기준)바이오의약품 전체 제조시장 및 CDMO 시장규모 전망 (3) 경쟁상황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주류인 동물세포 기반 항체의약품 생산을 전문으로하는 바이오 CMO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이 시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같이 대형 생산설비를 보유한 소수의 대형 CMO 기업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스위스에 본사를 둔 Lonza는 전세계에 25만리터의 동물세포 배양설비를 보유하고 있으며, 독일 Boehringer Ingelheim는 독일과 미국 등에 29만리터 생산설비를 보유 중 입니다.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8년 18만 리터 규모의 3공장이 cGMP 생산을 시작하여 2020년말 기준 36.4만리터 생산설비를 가동 중이며, 이 시장에서 선발업체를 추월해 생산설비 기준 세계 1위 CMO로 도약하였습니다.
본 포스팅은 종목을 추천하지 않습니다.
같이 보면 좋은 종목
1) 여행 관련주, 컨택트의 상징인 여행테마주 전망과 관련주 5가지를 알아보자.
2) 금융 관련주 7가지, 은행 및 투자 대표종목의 주가 전망 신한, KB금융 한국금융, 하나금융
3) 2021.06.08 - [1] - 두산중공업 목표주가 및 전망, 사업내용 및 성장성(원자력발전소 풍력 등 전력설비 관련주)
4) SK아이테크놀로(skiet) 목표 주가 및 전망 기업 분석, 개요 사업의 내용 및 성장성 주주비율 2차전지 테마주
'주식정보모아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플바이오 목표주가 및 기업개요 분석 치매 관련주 사업의 내용과 성장성 (0) 2021.06.12 비씨월드제약 목표주가 및 기업분석 전망, 재무재표 주주비율, 사업의 성장성코로나19 나파모스타트,렘데시비르(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0) 2021.06.12 두산중공업 목표주가 및 전망, 기업 분석 사업내용 및 성장성(원자력발전소 풍력 등 전력설비 관련주) (0) 2021.06.08 코로나 mRNA백신 대장주 및 관련주 7가지 (0) 2021.06.08 건설 테마 관련주 및 대장주와 건설 경기 동향과 최신 전망은? (0) 2021.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