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진원생명과학 기업분석 및 목표주가, 사업의 전망 성장성은?
    주식정보모아보기 2021. 4. 13. 20:09

    시가총액 / 8,428억원
    시가총액순위 / 코스피 252위
    상장주식수 / 45,189,008
    액면가l매매단위 / 1,000원 l 1주

    '52주최고l최저 52주 최고 최저 

    47,550원l 8,197원

     

     

    진원생명과학 목표주가 

    1. 진원생명과학 기업 정보

    진원생명과학은 초기에 의류용 심지 전문 제조와 판매를 목적으로 1976년에 설립되어 1987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하였다.

    그리고 진원생명과학의 주요 목적사업은 생명공학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등으로 확장한 상태이며 핵산 기반 바이오 신약과 항염증 치료 신약 등의 신약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당기말 현재 CMO 제조 및 생산, 심지 제조 및 생산을 영위하는 2개의 연결대상종속회사를 보유중이다.

     

    2. 진원생명과학 개요 및 현황, 전망

    개요

    진원생명과학은 제약사업 및 패브릭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제약사업부문은 바이오의약품 CMO사업과 차세대 바이오신약 개발사업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리고 진원생명과학의 제약사업은 플라스미드 DNA 제품을 미국법인인 VGXI,Inc.에서 생산 및 판매하며, 패브릭사업은 베트남법인 Dong-Il Interlining,Ltd.에서 제조하여 판매하고 있다.


    또한, 국내 DNA백신 및 플라스미드 기반 바이오의약품 개발을 위하여 국내외 기업 및 전문연구기관에 지속적인 협력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현황

    현재 진원생명과학은 경기부진에 따른 패브릭사업 부문의 부진에도 제약 사업 부문의 CMO 생산, 판매 확대와 컨설팅 부문 호조에 따라 외형은 전년동기대비 성장하였다.


    그리고 원가율의 하락에도 다수의 임상 실험 진행에 따른 경상연구개발비 부담 등으로 영업손실폭은 전년동기대비 확대되었으며 기타수지 저하로 순손실폭 또한 확대 되었다.


    COVID-19 백신의 임상 가시화 및 Plasmid DAN 수주 확대, 자회사를 통한 개인 맞춤형 암백신 신속생산 시스템 구축 등으로 외형 성장을 통해 수익 확보할 듯하다.

     

    3. 진원생명과학 재무요약 및 주주비율

     

    진원생명과학 재무요약

     

    진원생명과학 주주비율

    4. 진원생명과학 사업개요 및 내용, 성장성

     

    1) DNA백신 및 핵산기반 치료제 분야


    먼저 DNA백신 시장은 ‘2019 Global industry Trends, Growth, Share, Size, and 2025  Forecast Research Report (2019년 5월, Industry Research사 발행)’에 의하면, DNA백신이 기존 백신들 대비 효과적이고 부작용이 적은 특성으로 말미암아,2017년기준 잠재 수익의 시장점유율이 미국에서 58%, 유럽에서 28%로 평가하고 있고 2025년말까지 62억불 규모의 시장과 2019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성장률(CAGR) 7.7%를 전망하였습니다.

     

    또 다른 시장분석기관인 ResearchAndMarkets은 2019년부터 2027년까지의 연평균성장률(CAGR) 42.03%를 전망하기도 하였습니다

    핵산기반 치료제 시장은 주로 유전질환과 유전적 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제로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기존 치료제들이 치료효능이 거의 없거나 크지 않다 보니까, 혁신의약품으로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Nucleic Acid based Therapeutics Market   2018 Professional Analysis by Technology Type till 2020 (2019년10월, Market   Research Future사 발행)’보고서에 의하면, 2022년말까지 전세계 핵산기반 치료제의 시장은 7억4,198만불 규모의 시장과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성장률 (CAGR) 6.8%를 전망하였습니다.

     

    최근 국내를 포함한 글로벌 제약산업 및 바이오의약품 시장도 세계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고 있어 지적재산권의 보호, R&D 생산성, 그리고 효과성이 중시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사람의 건강과 직결되는 산업의 특징상 타 산업에 비해 경기변동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평균연령의 증가, 다양한 질병 및  새로운 감염성질환들의 등장 등으로 인하여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요구와 수요가    증가하여 경기변동과 무관하게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2) 플라스미드 DNA CMO 산업


    플라스미드 DNA는 최근 미국 및 전세계에 시판된 바이러스 운반체 기반 유전자 치료제들의 원료물질로 이용되고 있으며, 플라스미드 DNA 유전자치료제에서는 주성분으로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전세계 유전자치료제 의약품 생산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즉, AAV 운반체 기반 유전자치료제 또는 렌티바이러스 운반체 기반 유전자치료제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플라스미드 DNA의 의약품 생산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최근 전세계 유전자치료제 시장의 급속적인 성장에 힘입어, 플라스미드 DNA의 의약품 위탁생산 산업의 성장이 가속화 되고 있습니다.

    “Viral Vector & Plasmid DNA Manufacturing Market (2019년5월, AcumenResearch and Consulting사 발행)’ 보고서에 의하면, 2026년까지18억불의 시장규모와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성장률(CAGR) 21.4%를 전망하였습니다.

     

    바이오의약품 CMO산업의 고객이 주로 정부의 지원을 통해 의약품을 개발하는  바이오 벤처사 또는 전문연구기관인 특성을 가지고 있고 임상시험에 소요되는  바이오 의약품을 생산해주는 산업이니만큼 임상시험이 진행되는 1~3년 단위의 생산계약이 이루어져 여타의 산업에 비하여 경기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경기가 극도로 악화되는 경우에는 제약산업의 시장규모 축소로 CMO산업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3)섬유산업


    먼저 섬유산업은 국가경제 발전에 견인차 역할을 하는 핵심 기간산업인데 우리나라는 세계 9위의 섬유 수출국이며 섬유기술력 세계 4위로 생산기술도 고르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국내 섬유·패션산업은 제조업체가 48,375개(1인이상), 섬유패션 도소매업 및  서비스업 포함시 관련 업체가 304,543개사에 달하는 등 국민 경제·생활에 기여효과가 매우 큰 산업을 이루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섬유패션산업은 원사, 직물, 염색가공, 패션의류 등 Up Stream에서 Down Stream까지 균형된 생산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생산기술도 고르게 발달되어 있고 의류용의 경우 중·저가 범용품보다 고부가가치 기능성 섬유, 친환경섬유에 치중하는 한편 산업용섬유 등 신섬유 개발 및 생산 확대를 위한 기술력과 제품화 수준을 고도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섬유산연합회 "섬유산업 역사" 발췌)

     

    ※섬유산업은 계절적인 경기변동은 미미하나 환율변동 및 유가상승 등 외적인 영향으로 인한 경기변동이 심한 편입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